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가처분소득 뜻 과 계산하는 방법 제대로 알아보기

by 끌어당김의 원리 2023. 4. 19.
반응형

신용카드 발급받거나 대출을 받기 위해  은행에 갔는데 간혹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내부 심사에서 등급이 미달되었어요." "가처분 소득이 낮아 대출을 받기 힘듭니다"

나는 급여도 잘 받고 회사에 재직하고 있고 신용점수도 괜찮은 편인데 왜 그러지? 이렇게 생각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가처분 소득?저게 무슨 뜻이지?" 첨 듣는 분도 계실 겁니다.

가처분소득 뜻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처분소득 썸네일

가처분소득 뜻

경제학적으로 가처분소득은

사적소득(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이전 소득)+공적이전소득-공적소비지출 이렇게 계산됩니다.

위에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드리겠습니다.

  • 근로소득-회사로부터 월급을 받는 경우
  • 사업소득-개인사업으로 소득을 얻는 경우
  • 재산소득-개인적 재산으로 소득을 얻는 경우(임대료, 부동산 등)
  • 사적이전소득-은퇴 후에 자녀에게 용돈을 받은 경우
  • 공적이전소득-정부나 지자체의 복지혜택으로 현금성 이익을 받는 경우

  • 공적소비지출-국가에서 가져가는 현금(재산세, 소득세, 국민연금, 의료보험.. 등)

쉽게 설명하자면 가처분소득이란 자신이 번 소득에서 세금을 빼고 남은금액을 말합니다. 즉 남은 금액으로 개인이 마음대로 소비와 저축을 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하지만 은행은 한가지를 더 추가해서 봅니다.

은행에서는 가처분소득에서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금융권 지출금을 추가시킵니다.

금융권 지출금이란 대출, 카드론 이자 등 은행에 매달 고정적으로 지출이 되는 원금과 이자를 말합니다.

즉 소득이 있다고 해도 은행에 매달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금액이 많다면 은행입장에서는 가처분소득이 낮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아무리 수입이 있다고 해도 대출이 안되거나 카드발급이 안 되는 걸 말합니다.그럼 쉬운 계산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금융권의 가처분소득 계산하는 방법

같은 회사에 재직하는 근로자를 기준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근로자 A B
월급여(세전) 3,500,000 3,500,000
4대보험료 300,000 300,000
근로소득세/지방세 100,000 100,000
월 대출 (원금+이자) 2.100.000 0원
월 가처분 소득 1,000,000 3,100,000

위 표를 보듯이 두 사람은 똑같은 회사에서 똑같은 급여를 받고 있습니다.

한 사람은 월 고정적으로 나가는 대출 이자가 2백10만원이 나가고 한사람은 대출로 나가는 돈이 0원 입니다

은행입장에서는 A는 월가처분소득이 백만원이며 B는 삼백 십만원 입니다.

그래서 A가 회사도 다니고 신용이 좋아도 월 소비할 수 있는 금액이 백만원 이기에 

은행 입장에서는 대출을 해주거나 카드를 발급해줬을 때 연체확률이 높다고 판단하게 됩니다.그래서 은행에서는 신용이 좋아도 이런점을 따지기 때문에 카드발급이나 대출이 안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래서 신용이 괜찮은 편이고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도 간혹 가처분소득이 낮다는 말을 하는 이유가 이런 뜻입니다.가처분소득의 뜻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반응형

댓글